우포늪

지도의 중앙에 우포늪(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대대리, 세진리 일원:1,278,285㎡) 위치함
우포늪을 기준으로 11시방향으로 목포늪(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안리 일원:530,284㎡)이 위치함
우포늪을 기준으로 7시방향으로 쪽지벌(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옥천리 일원:139,626㎡)이 위치함
우포늪을 기준으로 7시방향으로 쪽지벌 아래 산밖벌(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세진리 일원:192,250㎡)이 위치함
우포늪을 기준으로 2시방향으로 사지포가 위치함(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주매리 일원:364,731㎡)

원시의 저층늪이 그대로 간직된 우포늪은 총면적 2,505천㎡에 이르는 천연 늪속에는 희귀동식물이 서식하며 동식물의 천국을 이루고 있습니다.우포늪은 국내 최대 규모의 자연내륙습지로서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자연 생태계의 보고(寶庫)이다.

우포늪 :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대대리, 세진리 일원 (1,278,285㎡)
목포늪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안리 일원 (530,284㎡)
사지포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주매리 일원 (364,731㎡)
쪽지벌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옥천리 일원 (139,626㎡)
산밖벌 :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세진리 일원(192,250㎡)
좌표 : 35°33′N, 128°25′E

소 개

국내 최대(最大)의 내륙습지(內陸濕池) 우포늪

우포늪은 창녕군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대지면 등 4개면에 걸쳐있는 총면적 2,505천㎡(습지보호지역 : 8,547천㎡)의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활한 늪지이다. 우포늪에는 800여종의 식물류, 209종의 조류, 28종의 어류, 180종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7종의 포유류 등 수많은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寶庫)이다.

우포늪은 1997년 7월 26일 생태ㆍ경관보전지역1)으로 지정되었으며 국제적으로도 1998년 3월 2일 람사르 협약2)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리고 1999년 8월 9일 습지보호지역3)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우포늪은 그 중요성으로 인해 2011년 1월 13일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천연기념물 524호)되었고, 2012년 2월 8일에는 습지개선지역4) (62,940㎡) 지정 및 습지보호지역(당초 8,540㎢, 변경 8,547㎢)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10월 25일에는 제13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세계최초로 람사르습지도시로 인증 받았다.

1) 생태ㆍ경관보전지역 : 환경부장관이 자연환경 보전지구에서 자연생태계의 보전이 특별 히 필요한 지역에 대하여 설치한 자연생태계 보호구역(자연환경보전법 제12조).
2) 람사르협약 : 물새 서식지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
3) 습지보호지역 :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등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있는 습지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한 곳이다.
4) 습지개선지역 : 습지생태계의 보전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지역

자연현황

우포늪은 국내 최대 규모의 자연내륙습지로서 창녕군 이방면과 대합면 등에서 낙동강으로 유입되던 소하천의 폭이 좁아지면서 형성된 것으로, 가로 약 2.5Km, 세로 약 1.6Km 정도가 되며, 위치는 동경 128°25', 북위 35°33'이고 총면적은 2,505천㎡(습지보호지역 : 8,547천㎡)이다.

우포늪은 2,505천㎡이 담수지역으로 창녕군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대지면에 걸쳐 원시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자연내륙습지이다. 현재는 이방면 옥천리와 유어면 세진리 사이에 제방을 쌓아 우포와 목포로 나뉘어 있고 사지포와 우포사이에도 제방을 쌓아 나뉘어져 있어 우포(1,278천㎡), 사지포(365천㎡), 목포(530천㎡), 쪽지벌(140천㎡)과 복원습지 산밖벌(192,천㎡)로 나누어진다. 우포늪의 형성과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낙동강 중류인 경상남북도 경계에서부터 창녕과 남지 사이의 낙동강변에는 배후습지1) 성 호수가 집단적으로 분포한다. 빙하기에 침식곡이 발달하여 낙동강과 토평천이 만들어졌으며, 후빙기 해수면에 도달한 토평천은 하류의 운반량이 적어 홍수 때에 역수(逆水)현상이 나타났다. 이때 대하천의 낙동강 물이 소하천인 토평천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서 퇴적물이 쌓여 자연제방이 생기고 그 안쪽에 물의 일부가 남아서 우포·목포·사지포 등 배후습지성 호수가 되었다. 전에는 우포도 홍수 때 낙동강 물이 역류하면서 수심이 깊어지고 평소에는 낙동강으로 자연 배수되어 수심이 낮아졌었다. 현재 우포늪 주변지역의 습지는 70년대 초 인공제방을 쌓아 낙동강의 홍수 때 하천 유입을 막고 배수·개답 후 농토가 되었다. 하지만 우포늪은 초여름에서 가을철에는 희귀식물인 가시연꽃과 마름, 생이가래, 자라풀 등의 수초가 늪을 덮어 훌륭한 경관을 연출하고 겨울이 되면 수천 마리의 철새(쇠기러기, 오리류, 고니 등)들이 아침 저녁으로 늪위를 나는 등의 훌륭한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우포늪 공식홈페이지

https://www.cng.go.kr/tour/upo/00001079.web